- 김정은·푸틴, 시진핑 좌우에…中 '반미 연대' 구심점 과시
- 中,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 개최…최신 무기 선보이며 군사력 과시

중국이 3일 현지시간으로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 수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열병식을 성대하게 개최했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선 가운데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북중러 정상은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옛 소련시절까지 포함하면 1959년 김일성·마오쩌둥·흐루쇼프 회동 이후 66년 만에 함께 톈안먼 망루에 서는 역사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이는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맞서는 새로운 '반서방 연대'의 결속을 대내외에 천명하려는 중국의 의도를 분명히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행사는 오전 9시(현지시간) 리창 국무원 총리의 개막 선언을 시작으로 막을 올렸다. 80발의 예포가 하늘을 가르고, '80'이라는 숫자를 형상화한 헬리콥터 편대가 베이징 상공을 수놓는 등 화려한 볼거리가 이어졌습니다. 톈안먼 망루에는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이 자리해 열병식 내내 함께 행진을 지켜봤다.
중국은 이번 열병식에서 드론 대응에 특화된 방공 시스템, 첨단 무인 잠수함, 스텔스 전투기 등 자체 개발한 최신 무기들을 대거 선보이며 부강해진 군사력을 과시했습니다. 중국 국방부는 열병식에 전시된 모든 무기가 국내에서 생산되어 실전 배치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열병식에는 북·중·러 정상 외에도 이란, 파키스탄, 미얀마 등 26개국 국가 원수와 정부 수뇌가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중국, 러시아와 관계가 가깝거나 서방과 거리를 두는 국가들로, 중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해 김 위원장과의 조우 여부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또한 중국 지도부 인사로는 원자바오 전 총리 등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했으나, 건강이상설이 제기됐던 후진타오 전 주석과 주룽지 전 총리는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언론들은 이번 열병식을 '반미 연대'의 결속을 과시하는 상징적인 이벤트로 평가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북미 관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시점에서 세 정상의 만남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미국 일극 체제를 넘어선 새로운 국제 질서 구축을 강조해 온 시 주석의 발언과 맞물려, 이번 열병식은 중국이 반서방 연대의 구심점 역할을 하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행사를 통해 '북·중·러 대 한미일'이라는 새로운 국제 구도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