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8-31(일)
 
  • 역사의 격랑에 휩쓸린 두 경극 배우의 삶
  • 예술과 현실, 사랑과 집착의 경계에서 펼쳐지는 불멸의 걸작

 

 

천카이거 감독의 1993년 작 '패왕별희'는 중국 영화 역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칸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단순한 시대극이나 퀴어 멜로드라마가 아니다. 1920년대 군벌 시대부터 중일전쟁, 공산 혁명과 문화대혁명에 이르기까지, 20세기 중국의 모든 비극을 두 경극 배우의 삶을 통해 압축적으로 증언하는 한 편의 거대한 역사서다. 경극 '패왕별희' 속 초패왕과 그의 연인 우희의 관계처럼, 무대와 현실의 경계가 무너진 삶을 살아야 했던 두 남자의 이야기는, 예술과 사랑, 그리고 이데올로기라는 거대한 폭력 앞에 인간의 존엄성이 어떻게 스러져가는지를 처절하고 아름답게 그려낸다.

 

 

 

무대에서 시작되어 무대에서 끝난 삶

1부: 운명의 시작, 두 소년의 만남 (1920년대) 

 

1924년 베이징, 홍등가의 창녀인 어머니는 아들 두지를 경극 학교에 맡기려 한다. 하지만 손가락이 여섯 개인 기형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하자, 어머니는 그 자리에서 아들의 손가락 하나를 잘라내고 아들을 버려둔 채 떠난다. 그렇게 끔찍한 배신과 함께 두지의 경극 인생이 시작된다.

 

혹독하고 비인간적인 훈련 속에서 연약한 두지는 늘 고통받지만, 그때마다 형처럼 듬직한 시투가 그를 감싸준다. 두지는 여자 역할인 '우희'를 맡게 되지만, "나는 본래 계집아이로, 사내아이와는 달라"라는 대사를 끝끝내 외우지 못하고 "나는 본래 사내아이"라고 외치며 저항한다. 그의 정체성을 뒤바꾼 것은 또 한 번의 폭력이었다. 시투가 담뱃대로 그의 입 안이 피투성이가 되도록 쑤셔 넣자, 비로소 두지는 피를 삼키며 "나는 본래 계집아이"라고 읊조린다. 이 순간, 소년 두지는 죽고 무대 위의 우희, 청데이가 탄생한다.

 

2부: 사랑과 질투, 세 사람의 엇갈린 운명 (1930~40년대) 

 

세월이 흘러 시투는 초패왕 역의 단샬로로, 두지는 우희 역의 청데이로 최고의 경극 스타가 된다. 데이는 무대 위의 역할처럼 샬로를 향한 사랑을 현실에서도 이어가지만, 샬로는 무대와 현실을 구분하는 호탕한 사내다. 그는 베이징 최고의 홍등가 화만루의 일등 기녀인 주샨과 사랑에 빠져 결혼을 선언한다.

 

데이는 주샨이 자신과 샬로 사이의 완벽한 세계를 파괴한 침입자라 여기며 극도의 증오와 질투심을 드러낸다. 그렇게 데이와 샬로, 그리고 주샨 세 사람의 위태로운 애증 관계가 시작된다. 중일전쟁 시기, 샬로가 일본군에게 끌려가자 데이는 그를 구하기 위해 일본군 장교 앞에서 경극 공연을 한다. 이 일은 훗날 그의 발목을 잡는 '부역'의 꼬리표가 된다. 이 시기 데이는 아편에 중독되고, 주샨은 샬로를 헌신적으로 보살피며 가정을 지키려 애쓴다.

 

3부: 혁명의 광기, 파멸의 무대 (1950~70년대) 

 

공산당이 집권하자 세상은 또 한 번 뒤바뀐다. 경극은 '봉건적 예술'이라 비판받고, 데이와 샬로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애쓴다. 그리고 마침내, 모든 것을 파멸로 이끄는 '문화대혁명'의 광풍이 몰아친다.

 

붉은 완장을 찬 홍위병들은 데이와 샬로를 '반동분자'로 지목하고, 인민재판의 무대 위로 끌어올린다. 군중의 광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자기부정과 상호 비방이 시작된다. 평생의 버팀목이었던 샬로는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데이가 일본군에게 공연한 사실과 동성애 관계를 폭로하며 "그를 사랑한 적 없다"고 외친다.

 

믿었던 왕에게 버림받은 데이는 이성을 잃고 샬로의 아내 주샨이 창녀였음을 폭로한다. 궁지에 몰린 샬로는 "저 여자를 사랑한 적 없다, 저 창녀와 절연하겠다"고 맹세한다. 남편의 마지막 배신에 모든 희망을 잃은 주샨은, 과거 결혼식 때 입었던 붉은 혼례복을 입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수십 년간 이어진 세 사람의 질긴 인연은 그렇게 가장 끔찍한 방식으로 끝을 맺는다.

 

마지막 패왕별희 11년의 세월이 흐른 1977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텅 빈 실내체육관에서 늙고 지친 데이와 샬로가 재회한다. 그들은 마지막으로 '패왕별희'를 연습한다. 초패왕이 우희에게 검을 건네며 탈출을 권유하는 마지막 장면. "나는 본래 사내아이로..." 데이가 소년 시절의 그 대사를 무심코 내뱉자 샬로가 "계집아이지"라고 정정해준다. 그 순간 데이는 초패왕의 검을 뽑아, 무대 위의 우희처럼 자신의 목을 긋는다. 현실의 청데이는 죽고, 그는 영원히 무대 위의 우희로 남는 것을 택한다.

 

 

예술과 인생, 그 비극적 합일

무대와 현실의 경계 이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예술과 현실의 비극적 관계다. 청데이는 무대와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혹은 구분하길 거부하는 인물이다. 그에게 경극 '패왕별희'는 연기가 아닌 자신의 삶 그 자체다. 반면 단샬로는 무대에서는 천하를 호령하는 패왕이지만, 무대 아래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현실적인 인간이다. 영화는 예술이 때로는 잔혹한 현실로부터의 도피처가 되지만, 동시에 현실을 살아갈 능력을 파괴하는 감옥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정체성과 배신의 연쇄 두지의 정체성은 어머니의 칼끝에서, 그리고 시투의 담뱃대 끝에서 폭력적으로 만들어진다. 그렇게 주입된 정체성을 데이는 평생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영화는 배신의 연쇄로 점철되어 있다. 어머니는 아들을 버리고, 샬로는 데이의 사랑을 배신하며, 결국 문화대혁명이라는 거대한 광기 속에서는 모두가 살아남기 위해 서로를 배신한다. 역사의 폭력은 가장 내밀한 인간관계마저 갈가리 찢어놓는다.

 

불멸의 연기와 미장센 '패왕별희'는 천카이거 감독의 압도적인 연출력과 배우들의 신들린 연기가 결합된 cinematic한 성취다. 화려하고 관능적인 경극 무대와, 중일전쟁의 폐허, 그리고 문화대혁명의 획일적이고 푸른 인민복이 이루는 시각적 대비는 그 자체로 시대의 변화를 웅변한다. 무엇보다, 청데이 역을 맡은 고(故) 장국영의 연기는 영화사상 가장 위대한 연기 중 하나로 꼽힌다. 그는 남성과 여성, 예술과 현실, 사랑과 집착의 경계에 선 인물의 위태롭고 아름다운 영혼을 온몸으로 체화했다.

 

 

'5세대 감독'의 시대적 증언

 

 

장이머우, 천카이거 등은 문화대혁명 이후 전문적인 영화 교육을 받은 '5세대 감독'으로 불린다. 이들은 자신들이 직접 겪은 중국 현대사의 상처와 트라우마를 영화의 중심 소재로 가져왔다. '패왕별희'는 그중에서도 문화대혁명의 비인간성을 가장 정면으로, 그리고 가장 예술적으로 고발한 작품이다.

 

한국의 관객들에게 이 영화가 더욱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예술가 수난사'라는 공감대 때문이다. 일제강점기나 군부독재 시절, 수많은 한국의 예술가들 역시 시대의 검열과 이데올로기의 잣대 앞에서 창작의 자유를 억압받고 고통을 겪어야 했다.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예술과 예술가의 운명이 어떻게 시대에 의해 규정되고 파괴되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패왕별희'는 국경을 넘어선 보편적인 울림을 준다.

 

한 편의 영화, 한 시대의 역사

 

 

'패왕별희'는 단지 한 편의 잘 만든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중국의 20세기를 담아낸 거대한 박물관이자, 역사의 폭력 앞에 스러져간 수많은 개인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진혼곡이다. 3시간에 가까운 긴 상영 시간 동안, 관객은 한 시대의 영광과 오욕, 그리고 한 인간의 지고지순했던 사랑이 어떻게 부서져 내리는지를 온몸으로 목격하게 된다.

 

한 나라의 굴곡진 현대사를 온몸으로 체험하고, 예술과 인생이 하나가 된 한 배우의 처절한 몸부림을 보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랑과 신념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알게 된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패왕별희', 경극 무대 위에서 스러져간 시대와 사랑의 대서사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